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10대 정책과제 시안
자세한 내용보기 PDF
www.moe.go.kr/sn3hcv/doc.html?fn=87d883cba6f396575ad06f9c1685ad36&rs=/upload/synap/202010/
「코로나 이후,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 시안」을 발표
□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 등 교육환경 변화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육현장의 변화를 미래교육으로 도약하기 위한 ‘디딤돌’로 삼아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,
◦ 미래교육위원회(’19.2월~), 원격교육 정책자문단(’20.4월~), ‘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’*(’20.6~8월) 등 광범위한 소통과 대화를 실시해 왔다.
* 정책 분야별 현장과의 열린 대화 9회, 권역별 지역포럼 4회 등
□ 교육부는 그간의 소통·대화 과정에서 교육현장의 요구가 많고 시급성을 요하는 정책들을 각 분야별로 우선 발표하였고,
* 「교육 안전망 강화 방안(8.11.)」, 「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(9.9.)」, 「디지털 시대의 열린 평생교육‧훈련 혁신방안(9.23.)」 등
◦ 이번 「미래교육 10대 정책과제(안)」은 최근 발표한 정책들을 포함하여 향후 추진할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체계화한 것이다.
<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(안) >
분야 |
추진 목표 |
10대 정책과제(안) |
유‧초‧중등교육 |
국가의 책무성, 현장의 자율성 강화 |
① 미래형 교육과정 마련 ② 새로운 교원제도 논의 추진 ③ 학생이 주인이 되는 미래형 학교 조성 ④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안전망 구축 |
고등‧평생교육 |
공유와 협력을 통한 혁신 지원 |
⑤ 협업‧공유를 통한 대학‧지역의 성장 지원 ⑥ 미래사회 핵심 인재 양성 지원 ⑦ 고등 직업 교육의 내실화 ⑧ 전 국민의 전 생애 학습권 보장 |
기반 구축 |
미래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기반 구축 |
⑨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교육 기반 마련 ⑩ 미래형 교육 협력 거버넌스 개편 |
□ 교육부는 이 날 발표한 「미래교육 10대 정책과제(안)」에 대해 연말까지 교원, 학생, 학부모 등 교육 당사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,
◦ 정책과제들 간의 정합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등 계속 보완해 갈 예정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