천리안위성 2B호
사업목적
ㅇ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협하는 한반도 미세먼지, 적조현상 등을 감시‧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지궤도 위성 개발
추진체계
ㅇ 주관기관 : 한국항공우주연구원
※참여부처 : 과기정통부(총괄, 시스템/본체), 해수부(해양탑재체), 환경부(환경탑재체)
※ 개발기관 : 시스템‧본체(항우연), 해양탑재체(Airbus(프)), 환경탑재체(BATC(미))
◦ 사업기간 및 예산 : ‘11.7 ~ ’20.10 (9년 4개월), 3,867억원*
* (2B호) 과기정통부 1,618억원, 환경부 1,228억원, 해수부 1,021억원(2A호, 기상위성) 3,180억원(과기정통부 1,618억원, 기상청 1,562억원)
◦ 발사일 : ‘20년 2월 19일
◦ 발사장 및 발사체 : 기아나 우주센터(남미 프랑스령 기아나), Ariane-5
◦ 주요임무
- (대기오염관측) 미세먼지 등 월경성 대기오염물질의 이동을 감시‧분석하여 대기오염 예보 등에 활용하고, 국제환경연구 등에도 기여
- (해양오염관측) 적조, 유류사고 등 오염물질 이동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재난대응을 지원하고, 어장탐색‧해양생태계관측 등 해양자원 관리 지원
천리안위성 2B호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주변의 해양 및 대기 환경을 관측하기 위한 정지궤도 위성*으로, 올해 2월 19일 남아메리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어 약 8개월간 고품질 해양위성영상을 원활히 제공하기 위한 각종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**이다.
* 정지궤도 위성이란 적도상공 약 36,000km 고도에서 지구 자전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며 항상 동일한 지역을 관측하는 위성
** 고품질 대기환경 위성영상을 산출하기 위한 시험 운영은 현재 진행 중
□기존 천리안위성 1호 비해 성능이 대폭 향상된 해양탑재체를 장착하고 있는 천리안위성 2B호는(공간해상도 500m→250m, 시간해상도 8회→10회/일) 기존에는 관측할 수 없었던 해무, 저염분수*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생산해 낼 것으로 기대된다.
* 보통 해수의 염분은 35psu 정도이나 많은 양의 담수가 상당 기간 바다로 유입되어, 염분이 26psu보다 낮아진 해수로 바다 어패류 폐사 등의 원인이 됨
□해양수산부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을 통해 국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제작한 해양영상정보(전처리 표준자료, 레벨 1)를 제공하며, 적조·유류 유출 등 해양재난을 대응하는 지자체 및 어장탐색 등 어업활동 지원·관리기관과 해양 분야 연구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특히, 국립수산과학원, 국가기상위성센터, 국가환경위성센터 등 해양영상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기관에는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해양관측정보를 직접 제공할 계획이다.
○ 또한, 2021년부터는 해양쓰레기의 광역적 분포, 괭생이모자반 이동경로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지도기반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등 위성정보 활용서비스도 지속적으로 추가할 예정이며, 향후에는 적조‧유류오염 탐지 등 해양현안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.
○ 아울러,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영상정보(전처리 표준자료)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을 통해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, 해양쓰레기 분포 등 26종의 산출물은 내년 1월부터 공개될 예정이다.
□ 한편,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10월 말 천리안위성 2B호의 대기환경 관측 위성 영상을 첫 공개하고, 검증과정을 거쳐 2021년부터 정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.
□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“천리안위성 2B호의 활용에 집중해야 할 단계”라면서, “최정상급의 대기환경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대기환경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”라고 말했다.